언리얼 폴더 구조

1. .vs폴더 :
- VS에서 실행할때 초기화 및 데이터 구조등을 기록
- 불러오기 과정 단축용
2. Binaries 폴더 :
- 컴파일된 이진파일이 저장되어있는 폴더
- 빌드 모듈이 존재
3. Config 폴더 :
- 프로젝트 세팅 저장
4. Content 폴더 :
- 모든 에셋 포함
5. DerivedDataCache 폴더 :
- 빌드과정에서 생성된 중간파일과 캐시데이터 저장(전처리된 쎄이더, 컴파일된 머터리얼 등)
- 이전에 처리된 데이터를 재사용해 빌드시간 단축 기능
6. Intermediate 폴더 :
- 빌드 시 생성되는 중간파일들(컴파일된 코드, 임시파일, 빌드관련 파일 등)
- 엔진이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임시파일들, 지워도 에디터실행시 재생성
7. Saved 폴더 :
- 임시파일 및 저장된 데이터(로그,임시캐시,백업파일,스크린샷 등)
8. Source 폴더 :
- C++ 코드, 프로젝트의 모듈 소스와 빌드 파이프라인 등 위치
9. .vsconfig 파일 :
- VS의 버전과 프로젝트에 대한 구성
10. .sln파일 :
- VS 솔루션(?= 프로젝트들을 하나로 묶은것) 파일
11. .uproject 파일 :
- 언리얼엔진 프로젝트 이름, 엔진 버전, 사용되는 플러그인 등 정보 포함
- 언리얼엔진이 인식하고 로드할수있도록 함
지금은 순서 정도만 알고 넘어가자
-작성과정-
.uproject로 프로젝트 열고
Config 로 프로젝트 설정 변경하고
Source 로 코드작성이랑 커스텀모듈 추가하고
Content 로 에셋생성하고 관리하고
-빌드과정-
Binaries 로 프로젝트 빌드한걸 저장하고
Intermediate & DerivedDataCache 로 빌드과정 중 생성되는 중간파일과 캐시데이터 저장하고
Saved 로 로그, 에디터 설정, 로컬저장데이터 등 저장하고
-비쥬얼스튜디오-
.vs & .vsconfig 로 프로젝트의 IDE 설정 함.
*꼭 이 순서 아니더라도 필요에 따라 여러 폴더도 사용함
'Unreal5 > 폴더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언리얼5] 표준 코딩 (0) | 2024.04.15 |
|---|---|
| [언리얼5] Unreal Asset 폴더구조 (0) | 2024.03.14 |